-
231026_Java 3장, 4장Individual Learning/Java 2023. 10. 26. 16:47
3장 연산자
연산자란,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를 말한다.
종류 연산자 설명 산술연산자 + - * / % << >> 사칙연산과 나머지 연산(%) 비교연산자 > < >= <= == != 크고 작음과 같고 다름을 비교 논리연산자 && or ! & | ^ ~ 그리고(AND)와 또는(OR)을 조건으로 연결 대입연산자 = 우변의 값을 좌변에 저장 기타 (tybe) ?: instanceof 형변환 연산자, 삼항 연산자, instanceof연산자 더보기대소비교 연산자
비교연산자 연산결과 > 좌변 값이 크면 true, 아니면 false < 좌변 값이 작으면 true, 아니면 false >= 좌변 값이 크거나 같으면 true, 아니면 false <= 좌변 값이 작거나 같으면 true, 아니면 false
등가비교 연산자
비교연산자 연산결과 == 두 값이 같으면 true, 아니면 false != 두 값이 다르면 true, 아니면 false
논리 연산자
|| (or 결합) 피연산자 중 어느 한 쪽이 true면 true를 결과로 얻는다. && (and 결합) 피연산자 양쪽 모두 true 여야 true를 결과로 얻는다. 논리부정연산자
증감연산자
증가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시킨다. 감소 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시킨다. 증가 연산자의 위치에 따른 차이
타입 설명 사용 예 전위형 값이 참조되기 전에 증가시킨다. j = ++i; 후위형 값이 차조된 후에증가시킨다. j = i++; 더보기class Ex3_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5, j=0; j = i++; System.out.println("j=i++; 실행 후, i=" + i +", j="+ j); //j 값을 부여한 후 증가 i=5; //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i와 j의 값을 다시 5와 0으로 변경 j=0; j = ++i; System.out.println("j=++i; 실행 후, i=" + i +", j="+ j); //j를 증가한 후 값을 부여 } }
형변환 연산자
형변환이란,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타입) 피연산자 로 형변환을 할 수 있다.
반올림 메소드 Math.roung()는 소수점 첫쨰 자리에서 반올림 한 결과로 정수를 반환한다.
4장 조건문과 반복문
if문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한다. 조건이 거짓일 경우, 실행하지 않고 코드를 끝낸다.
if-else문 조건 조건이 참 또는 거짓일 때 실행한다. if문과 달리, 조건이 참일 경우 참일 때 if코드를 실행하고 조건이 참이 아닐 경우(거짓일 경우) else 코드를 실행한다.
if-else if 문 처리해야 할 경우의 수가 셋 이상인 경우 실행하며, 참인 결과가 하나도 없을 때 else 코드를 실행한다.
중첩 if문 if문의 블럭 내에 또 다른 if문을 포함시키는 것, if-e;se if문과 동일한 결론을 도출하지만 동작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switch문 조건식을 계산한 뒤 결과와 일치하는 case문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case문으로 이동해서 코드를 수행하며 break문을 만나면 전체 switch문을 빠져나온다.
for문 반복문으로, 구조는 for(초기화;조건식;증감식) {} 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건식이 참인 동안 블럭 내의 코드를 반복하며, 거짓이 되면 반복문을 벗어난다.
중첩 for문 for문 안에 for문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작동원리는 for문과 유사하며 중첩은 제한이 없다.
while문 반복문으로, 조건식을 평가해서 참일 경우 블럭{} 내의 문장을 수행하고 거짓일 경우 문장을 벗어난다.
for문은 초기화, 조건식, 증감식을 한 곳에 모아놓았을 뿐, while문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for문이 while 문보다 간결하지만 초기화나 증감식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면 for문보다 while문이 더 적합할 것이다.
do-while문 while문의 변형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while문과 같지만 블럭{}을 먼저 수행한 후 조건식을 평가한다. 따라서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수행이 되지 않을 수 있지만, 처음 한번은 무조건 수행된다.
Math.random() 임의의 정수를 만드는 메서드
break문 반복이 진행되는 도중 break를 만나면 자신이 포함된 가장 가까운 반복문을 벗어난다.
continue문 반복이 진행되는 도중 continue문을 만나면 반복문의 끝으로 이동하여 반복한다.
최소 요약한 내용은 모두 암기할 것.
'Individual Learning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028_Java 8장 (0) 2023.10.28 231026_Java 5장 (0) 2023.10.26 231025_Java 2장 (0) 2023.10.26 231024_Java 7장 (0) 2023.10.24 231021_Java 6장 (0) 2023.10.22